Table 1. 교모세포종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화학 항암제

약물 약물 용도 (특성) BBB 통과 여부 주요 부작용 투여 방법 출처
Temozolomide (TMZ) DNA 알킬화제 통과 메스꺼움, 구토, 피로, 혈구감소증 경구 23, 24
Bevacizumab VEGF 억제 단클론항체 제한적 고혈압, 위장관 천공, 출혈, 혈전색전증 정맥 주사 4, 7, 31
Lomustine (CCNU) 나이트로소우레아 계열 알킬화제 통과 골수억제, 폐 섬유화 경구 21, 44, 46
Carmustine (BCNU) 나이트로소우레아 계열 알킬화제 통과 골수억제, 폐 독성 신경학적 독성, 위장관 및 간 독성 정맥 주사 또는 생분해성 웨이퍼 4, 8, 21, 44, 49
Irinotecan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 통과 설사, 골수억제 정맥 주사 50
Procarbazine (주로 병용하여 사용함) (PCV요법으로도 사용되고 있음) DNA 알킬화제 통과 골수억제, 오심, 구토 경구 21, 51
Vincristine (PCV 요법으로도 사용되고 있음) 미세소관 억제제 제한적 말초신경병증 정맥 주사 52
Pembrolizumab PD-1 억제 면역항암제 제한적 면역 관련 부작용(갑상선기능저하증, 대장염, 갑상선 기능 항진증) 정맥 주사 53
Boracidenib IDH1/2 이중억제제 통과 AST · AGT · GGT 증가 (간효소 관련 수치), 관절통, 피로, 오심, 현기증, 발작 경구 54
Ibocidenib IDH1 억제제 통과 오심, 구토, 고혈당증, 실어증, 저인산혈증 등 경구 55
Enacidenib IDH2 억제제 통과 오심, 구토, 고빌리루빈혈증 경구 56